봄철, 이유 없이 무기력해지고 우울해지는 사람들이 있다. 보통 ‘봄을 탄다’며 가볍게 넘기기 쉽지만,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되면 ‘계절성 우울증’을 의심해 보고 의료진 도움을 받는 게 좋다.
3일 정신건강의학과 의료진들에 따르면 1년 중 자살률이 가장 높은 계절이 봄(3~5월)이다. 봄철 자살률이 오르는 건 전 세계 공통적인 현상으로 이를 ‘스프링 피크’(Spring Peek)라고 부른다.
국가통계포털(KOSIS) 자료를 봐도 최근 3년간 자살률이 가장 높았던 시기는 2021년 3월, 2022년 4월, 2023년 5월이었다.
스프링 피크의 원인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바 없지만 봄철 우울증과 연관된 것으로 분석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를 보면 우울증 환자는 2018년 약 75만 명에서 2022년 약 100만 명으로 33%로 급증했으며, 같은 기간 불안장애 환자도 약 69만 명에서 약 87만 명으로 26% 늘었다.
의학계에서는 입학·졸업·취업 등 사회적인 변화나 봄을 만끽하는 사람들과 자신을 비교하며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 등이 우울증은 물론 ‘자살 생각’을 키운다고 보고 있다.
우울증이 생기면 침울한 기분이 비정상적으로 오랫동안 회복되지 않는다. 침울한 기분은 쓸쓸함, 슬픔, 불안, 절망, 허무, 답답함, 초조함 등의 감정으로 표현된다.
누구나 우울할 수 있다는 통념 때문에 방치될 수 있으나 조기 진단과 재발 방지 치료가 핵심인 질환이어서 증상이 의심되면 망설이지 말고 병원을 찾아야 한다.
장진구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봄은 1년 중 자살률이 가장 높은 시기라 적극적인 정신건강 관리가 필요하다”며 “정신건강 관리는 자신의 상태를 인정하는 것에서 시작된다”고 말했다.
장 교수는 “우울·불안은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는 마음의 병인 만큼 먼저 환자 스스로 벗어나려는 강한 의지가 요구된다”고 당부했다.
우울증의 치료법에는 △생활 습관의 개선 △약물치료 △심리치료가 있다. 약물치료는 환자 증상, 약물의 부작용, 과거 약물치료에 대한 반응, 처방 비용 등을 고려한다.
항우울제를 복용하더라도 치료 효과는 투여 직후가 아닌 약 2주 뒤에 나타나기 때문에 쉽게 포기하거나 실망하지 않고 꾸준히 투약하는 게 중요하다.
3일 정신건강의학과 의료진들에 따르면 1년 중 자살률이 가장 높은 계절이 봄(3~5월)이다. 봄철 자살률이 오르는 건 전 세계 공통적인 현상으로 이를 ‘스프링 피크’(Spring Peek)라고 부른다.
국가통계포털(KOSIS) 자료를 봐도 최근 3년간 자살률이 가장 높았던 시기는 2021년 3월, 2022년 4월, 2023년 5월이었다.
스프링 피크의 원인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바 없지만 봄철 우울증과 연관된 것으로 분석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를 보면 우울증 환자는 2018년 약 75만 명에서 2022년 약 100만 명으로 33%로 급증했으며, 같은 기간 불안장애 환자도 약 69만 명에서 약 87만 명으로 26% 늘었다.
의학계에서는 입학·졸업·취업 등 사회적인 변화나 봄을 만끽하는 사람들과 자신을 비교하며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 등이 우울증은 물론 ‘자살 생각’을 키운다고 보고 있다.
우울증이 생기면 침울한 기분이 비정상적으로 오랫동안 회복되지 않는다. 침울한 기분은 쓸쓸함, 슬픔, 불안, 절망, 허무, 답답함, 초조함 등의 감정으로 표현된다.
누구나 우울할 수 있다는 통념 때문에 방치될 수 있으나 조기 진단과 재발 방지 치료가 핵심인 질환이어서 증상이 의심되면 망설이지 말고 병원을 찾아야 한다.
장진구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봄은 1년 중 자살률이 가장 높은 시기라 적극적인 정신건강 관리가 필요하다”며 “정신건강 관리는 자신의 상태를 인정하는 것에서 시작된다”고 말했다.
장 교수는 “우울·불안은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는 마음의 병인 만큼 먼저 환자 스스로 벗어나려는 강한 의지가 요구된다”고 당부했다.
우울증의 치료법에는 △생활 습관의 개선 △약물치료 △심리치료가 있다. 약물치료는 환자 증상, 약물의 부작용, 과거 약물치료에 대한 반응, 처방 비용 등을 고려한다.
항우울제를 복용하더라도 치료 효과는 투여 직후가 아닌 약 2주 뒤에 나타나기 때문에 쉽게 포기하거나 실망하지 않고 꾸준히 투약하는 게 중요하다.
저작권자 © 경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북도민일보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
▶